Centos 디스크 파일 다운받기
https://www.centos.org/download/
Download - The CentOS Project
CentOS Stream Continuously delivered distro that tracks just ahead of Red Hat Enterprise Linux (RHEL) development, positioned as a midstream between Fedora Linux and RHEL. For anyone interested in participating and collaborating in the RHEL ecosystem, Cent
www.centos.org
9버전 X86_64 ISOs 를 받아준다.
ISO 란 CD/DVD의 데이터를 그대로 복제한 파일 형식이다.
요즘은 운영체제를 배포할때 자주 쓰이는 형식이고 VM 에 마운트 해서 사용할 수 있다.
Clone
VMware 에서 버추얼 머신을 생성한 뒤 clone 하면 빠르게 복제 버추얼 머신을 만들 수 있다.
clone 을 할 때 linked clone 과 full clone 이 있는데
linked clone 은 부모 디스크를 공유하고 (부모 삭제시 영향받음)
full clone 은 부모 디스크를 완전히 복사하여 새 디스크를 사용한다. (부모와 별개)
linked clone 으로 server1, server2 vm 을 생성해준다.
nmtui
네트워크 설정창을 띄워준다.
Set system hostname 으로 hostname 을 설정해줄 수 있다. hostname 은 내가 서버에 붙여주는 이름이다. hostname 을 설정한 후 터미널창을 exit 하여 닫았다가 열면 터미널 쉘 프롬프트가 바뀌어있는 걸 볼 수 있다.
hostname 설정 후 OK 하면
위처럼 프롬프트에 root@main ~ 라고 되어있는걸 볼 수 있다.
root 는 사용자 이름
main 은 서버이름(축약)
]뒤에 # 이 있으면 관리자(root)
$이 있으면 일반 사용자다.
~(틸드) 는 홈폴더를 뜻한다.
사용자마다 홈폴더가 있다. root 사용자의 home 폴더는 \root, user1의 home 폴더는 \home\user1 에 존재한다.
home 폴더에서 cd .. 을 하면 root 폴더로 이동한다. (최상위 폴더)
이더넷이란?
유선 네트워크 통신 방식 중 하나이다.
LAN 을 구성할때 사용하는 기술.
VMWare 같은 가상화 환경에서는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도 이더넷을 사용
즉 이더넷은 유선으로 연결된 네트워크 방식
랜카드란?
물리적인 하드웨어(실제 부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란?
운영체제에서 랜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것 (소프트웨어적 개념)
운영체제에서 네트워크를 다루는 가상적인 개념
예전에는 리눅스가 네트워크 카드 (랜카드)를 감지하는 순서대로
eth0,eth1,eth2 라는 번호를 붙였는데
문제는 이게 부팅할때마다 네트워크 장치를 감지하는 순서가 바뀔 수가 있었다.
내가 사용하 설정을 eth0 으로 지정했는데 이게 이름이 바뀌면서 eth1 이 되면
네트워크 설정이 적용되지 않은것.
그래서 리눅스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이름을 하드웨어 위치 기반으로
고정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이제는 장치의 물리적인 위치에 따라 ens33, ens160 처럼 고유한 이름을 부여한다.
로그인 & 로그아웃
로컬 컴퓨터에 로그인 & 로그아웃
터미널에서 로그인
- 터미널 & 터미널 애뮬레이터
: 터미널은 입력/출력 장치를 시뮬레이션 시켜 놓은 프로그램
: 애뮬레이터 프로그램 (putty, SecreCRT, Xshell 등)
네트워크를 통한 로그인 & 로그아웃
관리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는 원격 시스템에 대한 쉘 엑세스 권한을 얻어야 하는 경우
SSH(보안 쉘) 사용
SSH 외에도 telnet, rlogin 등이 있으나 보안상 SSH 를 사용할 것을 권장
# ssh <사용자>@<호스트> 명령으로 ssh 로그인 할 수 있다.
gnome-tweaks 설치 및 설정
GNOME 은 GUI 기반의 데스크톱 환경이다.
gnome-tweaks 는 GNOME 환경 구성요소의 모양을 변경할 수 있는 도구이다.
yum -y install gnome-tweaks 로 설치. (yum 은 패키지를 관리하기 위한 명령어)
-y 명령어를 붙이면 필요한 용량 안내 등 메세지 없이 설치할 수 있다.
TUI / GUI 환경 전환
TUI : Text User Interface
CLI : Command Line Interface
GUI : Graphic User Interface
Runlevel ?
서비스의 실행단계를 단계별로 구분하여 적용하는것.
Runlevel 3 : TUI
Runlevel 5 : GUI
multi-user.target : TUI
graphical.target : GUI
현재 runlevel 확인
who -r
systemctl get-default
[root@main ~]# who -r
run-level 5 2025-03-02 22:38
[root@main ~]# systemctl get-default
graphical.target
- 현재 runlevel 5. gui 로 설정, 부팅시 gui 로 설정되어있는 것 확인
현재 runlevel 을 바꾸고싶다면
systemctl isolate multi-user.target
부팅시 runlevel 을 바꾸고싶다면
systemctl set-default multi-user.target
리눅스에서 데몬이란
백그라운드에서 계속 실행되는 시스템
운영체제 셧다운과 재부팅
전원끄기
# poseroff
# init 0
- runlevel 0 은 power off 를 뜻함
# shutdown -h now
- -h 란 halt
운영체제 재부팅
# reboot
# init 6
- runlevel 6 은 reboot
# shutdown -r now
- -r 은 reboo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