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1

스테이트 패턴(State Pattern) 목적: 객체의 내부 상태가 바뀔 때 객체의 동작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함. 객체는 자신의 클래스를 바꾸는 것처럼 보임 State(상태) : 시점에 따라 특정 상태에 있어야함. 처음에 가지게 되는 초기상태 (state)또는 상황에 따라 여러 상태 가운데한 상태를 가질 수 있음. Transition(전이) : 외부 입력에 따라 가능한 상태로 전환 상태(state)가 여러 개 있고 , if 문으로 상태를 통제했던 것을 상태를 한 곳에서 관리하고 변경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다. 상태표시를 정수로 하던 것을 상태 객체를 사용하는 것으로 변경한다. 상태를 별도의 클래스로 캡슐화 한 다음,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객체에게 행동을 위임한다. 2020. 12. 8.
Attributes type : 어트리뷰트 타입, 어트리뷰트 종류. •An entity is represented by a set of attributes >Example: a instructor entity= {(ID,76766), (name, Crick), (dept_name, Biology), (salary, 72000)} a instructor entity= {(ID,45565), (name, Katz), (dept_name, Physics), (salary, 55000)} entity는 어트리뷰트의 집합으로 나타난다. •Domain – the set of permitted values for each attribute >Semester -> {Fall, Winter, Spring, Summer} >course_id -> the set of all text str.. 2020. 12. 7.
인터페이스를 레퍼런스 변수로 사용할 수 있을까? ktko.tistory.com/entry/Effective-Java-52-%EA%B0%9D%EC%B2%B4%EB%A5%BC-%EC%B0%B8%EC%A1%B0%ED%95%A0-%EB%95%8C%EB%8A%94-%EA%B7%B8-%EC%9D%B8%ED%84%B0%ED%8E%98%EC%9D%B4%EC%8A%A4%EB%A5%BC-%EC%82%AC%EC%9A%A9%ED%95%98%EB%9D%BC Effective Java #52 객체를 참조할 때는 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라 적당한 인터페이스 자료형이 있다면 인자나 반환값, 변수 그리고 필드의 자료형은 클래스 대신 인터페이스로 선언하자. 객체의 실제 클래스를 참조할 필요가 있는 순간은 생성자를 생성할 때다 ktko.tistory.com 과제를 복습하다가 교수님이 주.. 2020. 12. 4.
명품 JAVA 프로그래밍: 7장 제네릭과 컬렉션 컬렉션이란? 컬렉션은 배열이 가진 고정 크기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객체들을 쉽게 삽입, 삭제, 검색할 수 있는 가변 크기의 컨테이너이다. 컬렉션 클래스는 개발자가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것들로서, Vector와 ArrayList는 가변 크기의 배열을 구현하며, LinkedList는 노드들이 링크로 연결되는 리스트를 구현한다. Stack는 스택을 구현하며 HashSet는 집합을 구현한다. 이들은 모두 Collection를 상속받고, 단일 클래스의 객체만을 요소로 다루는 공통점이 있다. HashMap는 키(K)와 값(V)의 쌍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키로 쉽게 검색하도록 만든 컬렉션이다. 컬렉션의 특징 첫째, 컬렉션은 제네릭 이라는 기법으로 만들어져있다. 컬렉션 클래스의 이름에는 ,,등이 항상 포.. 2020. 1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