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91 MySQL: primary key, foreign key 추가 및 삭제, constraint추가 방법. 1. key의 정의. pk는 DB 디자이너에 의해 선택 된 candidate key를 뜻한다. 그럼 candidate key는 뭘까? key는 하나의 tuple을 다른 tuple로부터 구별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학생의 학번이나 이메일 주소는 고유한 값이기 때문에 key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학생의 이름은 중복값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key라고 볼 수 없다. 그럴때 (학번, 학생의 이름) 이렇게 두개를 함께 key로 사용한다면 중복값이 있을 수 없으니까 key라고 볼 수 있다. 키 중에는 superkey, candidate key, primary key, foreign key가 있으며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다. super key란 relaion 안에 고유한 값을 가진 유니크한 속성의 집합이다. 위.. 2020. 10. 16. 07.Singleton Pattern 1. 싱글턴 패턴의 목적 클래스가 한 개의 인스턴스만을 만들 수 있도록 하고, 다른 곳에서 그 생성된 한개의 인스턴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2. 고전적 싱글턴 패턴의 구현 방법 private 디폴트 생성자 구현 싱글턴 인스턴스를 저장하는 정적 멤버 변수(static 변수) 생성 싱글턴 인스턴스를 반환하는 정적 팩토리 메소드(static 메소드) 구현 (그러나 멀티 스레드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에서는 이게 문제가 될 수 있다.) 즉 A a = new A(); 같은 형식으로 객체를 생성하지 않게 할 것이라는 뜻이다. 여기서는 한개의 인스턴스만을 만드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private 디폴트 생성자를 막아둔다. 정적 메소드(static 메소드)에는 객체를 생성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는 메소.. 2020. 10. 14. 안드로이드: Fragment , NullSafety,Resource button.setOnClickListener{ //프라그먼트를 동적으로 작동하는 방법 //Fragment 붙이는 방법 replace/add val fragmentManager: FragmentManager = supportFragmentManager //Transaction //작업의 단위 -> 시작과 끝이 있다. val fragmentTransaction = fragmentManager.beginTransaction() //시작 //할일 fragmentTransaction.replace(R.id.container, fragmentOne) // 할일 fragmentTransaction.commit() //보통 commit은 끝을 뜻함. //끝을 내는 방법 //commit -> 시간 될 때 해 (좀 더 .. 2020. 8. 16. 안드로이드: Activity, 익명함수,Intent 01. Activity - 앱의 한 화면이다. - Life Cycle (수명 주기) - OnCreate -> activity가 만들어질 때 단 한번만 호출 된다. -> activity를 만들 때 단 한번만 하면 되는 작업들은 여기에서 해준다. - OnStart - OnResume -> 앱이 다시 돌아올때 무조건 호출 된다. -> activity가 다시 호출 될 때 하면 되는 작업들을 여기에서 해준다. - OnPause -> 화면의 일부가 가려졌을 때 - OnStop -> 화면 전부가 보이지 않을 때 - OnDestroy 마우스 우클릭->제너레이트->오버라이드 메소드 라이프사이클이 배운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println을 사용했었는데 로그라는 기능이 있음. 행동 발생할 때 그걸 기록하는거임 개발에서 .. 2020. 8. 16.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