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1

NAVER 부스트코스 1.1웹 개발의 이해 http는 어떤 종류의 데이터도 전송할 수 있도록 설계가 되어있음.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문서.. 종류 가리지 않고 전송. 1.1 버전 가장 사용 많이 함. http 는 서버/클라이언트 모델.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응답 요청하면 서버가 요청을 받아서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준다. 무상태(stateless) 프로토콜: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받은 요청 응답하고 나면 클라이언트와 연결을 바로 끊는다. 클라이언트가 바로 다음것을 요청한다고 해서 서버는 아까 연결되었던 클라이언트와 같은지 다른지 알 수가 없음. 계속 연결상태 유지하는것이 아니라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최대 연결수보다 훨씬 많은 요청과 응답을 처리할 수 있음. 장:불특정 다수 대상으로하는 서비스에 적합 단:클라이언트가 이전에 뭘 했는지 알수가 없음. .. 2020. 7. 18.
java3주차 객체란 무엇인가? 객체는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 프로그래밍에서 속성과 기능을 가지는 프로그램 단위이다. ex)날씨 프로그램 속성)온도,미세먼지 기능)날씨예보 클래스란 무엇인가?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틀이다. 붕어빵 기계 필요에 따라 객체를 만든다. 소형차, 대형차,, 용도에 따라 객체가 달라짐. 클래스는 다양한 객체 만들기 위한 하나의 틀을 만드는 것이다, 붕어빵 기계 팥이든 붕어빵 만들어주세요. 나는 거기에 팥 넣어.. 다른 재료 넣어 이때 붕어빵의 틀은 변하지 않아. 그 안의 속성과 기능이 달라지는거, 그랜져.. 공장에서 그랜져 생상 틀. 기능으로 배기량. 속성으로 색상, 바퀴 소비자. 검정, 일반바퀴, 배기량 2000cc이렇게 원하면 저렇게 출시 틀은 그대로 있고 상품을 그 틀에서 똑같이 제작 .. 2020. 6. 2.
java2주차:나중에 다시 정리 2020. 6. 1.
안드로이드 스튜디오:AndroidManifest.xml, Java, Res 폴더 설명 패키지 명으로 앱을 구분하기 때문에 패키지 명은 고유해야한다. androidmanifest는 앱의 지도역할을 한다. android:allowBackup="true" 앱을 지워도 일정 정보가 백업되어 남아있게 한다. 그래서 앱을 지웠다가 다시 깔아도 나의 정보가 남아 있을 수 있다. android:icon="@mipmap/ic_launcher" 애뮬레이터 실행 시 메뉴를 누르면 내가 만들지 않았는데도 내가 만든 앱의 아이콘이 생긴다. @태크는 위치를 의미하는데 그래서 res에 들어가면 mipmap이 있고 ic_launcher에 들어가면 앱 아이콘이 있다. android:label="@string/app_name" 앱의 이름을 뜻한다. android:roundIcon="@mipmap/ic_launcher_r.. 2020. 5. 30.